관음보살은 대중들에게 현세에 이익과 바람을 이루어 주시는 분으로써 예로부터 우리 민중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오신 보살님입니다 . 이러한 관음보살은 여러 형태로 모습을 바꾸시며 나타나시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천수천안 관음입니다.. 천수천안 관음은 무수히 많은 손과 눈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대중들의 바람을 잘 보시고 또 잘 어루만지겠다는 관세음보살이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. 원주시 무위사의 천수천안 관음은 중앙에 보살님을 크게 배치한 후 서기를 표현하여 시선을 집중시킨후 먹 바탕에 금니와 금박으로 묘사하여 화려함을 나타내었습니다 .
Copyright ⓒ 2020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관음 천수천안관음 천수천안관음도 천수천안관음탱화 ,
무위사 금니탱화 먹탱화 순금탱화 ,
불화 탱화 불교미술 불교회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지장보살은 지옥세계를 주관하시는 보살님이시고 그 안에 각기 다른 10 개의 지옥의 왕을
시왕이라 합니다 . 이러한 지장보살과 시왕을 함께 조성한 그림이 지장보살도입니다 .
원주시 무위사의 지장보살도는 고려불화의 지장보살의 도상을 기본으로 한 후 주위에 시왕을 배치하여 시선을 집중시켰습니다 . 또한 먹 바탕에 금박과 금니로 화려하게 묘사하여
그림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습니다 .
Copyright ⓒ 2020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불화 탱화 불교미술 불교회화 지장 시왕 지장탱화 지장보살도 지장시왕도 무위사 금니탱화 먹탱화 순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신중은 불교의 수호신으로써 고대 인도 , 중국 , 한국의 여러 신들이 불교의 수호자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. 특히104특히 104위 신중도는 그중에서도 가장 확장되고 완전한 형태로써 해학적 모습과 위엄 있는 모습을 같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. 원주시 무위사의 104 위 신중도는 화폭이 협소한 관계로 여러번의 수정을 통하여 많은 인물들이 번잡하지 않고 정돈되고 통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. 그리고 금니와 금박의 적절한 조화를 통하여 화려함과 정돈된 느낌을 함께
나타냈습니다 .
Copyright ⓒ 2020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불화 탱화 신중 신중도 신중탱화 104위 백사위 금니탱화 무위사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석가모니 후불도는 부처님의 설법을 묘사한 법화경을 바탕으로 한 그림으로써 부처님의 말씀이 사부대중에게 잘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. 강원도 원주시 무위사에 모셔진 이 후불도는 먹바탕에 순금으로 묘사된 작품으로써 먹 바탕의 단순함 속에서 화려한 금니의 묘사를 통하여 설법의 순간을 표현하였습니다 .
TAG 탱화 불화 영산회상도 후불탱화 금니탱화 순금탱화 무위사 석가모니후불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법당 밖 야외에서 행사를 주관할 때 걸개그림의 형식으로 조성한 그림을 괘불탱화라고 합니다 .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 이후에 성행하여 많은 작품들이 남아 있습니다 .
그중에서도 운흥사 괘불탱화는 법화경을 묘사한 영산 회상도를 조성한 작품으로써 조선 후기 최고의 화승인 의겸스님의 작품이기도 합니다 .
이 작품은 의겸스님의 초안을 계승한 작품으로써 먹 바탕에 금니로 표현하였습니다 .
거대한 괘불탱화의 초본을 작은 화폭에 묘사했기 때문에 도상을 약간 부드럽게 표현하였고 금니를 사용하여 섬세하고 화려하게 묘사하였습니다 .
사찰을 방문하면 언제나 만나 뵐 수 있는 많은 탱화들과는 달리 괘불탱화는 특별한 행사가 아니면 자주 접하기가 힘듭니다 . 따라서 많은 대중들이 관람할 수 있는 불화 전시회에서 괘불탱화의 아름다움을 선보이기 위하여 금니 괘불탱화를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.
Copyright ⓒ 2020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출처: https://bulam.tistory.com/category [불암미술사]
TAG 괘불 ,
금니 ,
불화 ,
영산회상도 ,
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안녕하세요 불암미술사 유한울입니다 .
불암미술사 블로그를 시작한 지도 벌써 10여년이 지났습니다 .
그동안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제 블로그를 방문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
올립니다 .
지난 10여년의 시간 동안 국가적 , 사회적으로 많은 일들이 있었고 , 저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전과
변화의 과정을 겪어 왔습니다 .
블로그 개설 이후 새로운 작품이 완성될 때마다 꾸준히 업데이트를 했었는데
물리적인 시간의 부족함과 저의 게으름으로 인해 2016 년부터 4 년간 사찰에
모셔진 작품들과 여러 전시회에 전시된 개인작품들을 업데이트하지 못했습니다 .
저의 게으름을 반성하며 4 년여 동안 완성했던 작품 20 여점 가량을 새로이 선보이고자 합니다 .
앞으로 작품설명을 포함한 작품 이미지를 블로그에 선보일 계획입니다 .
관심 있게 지켜 봐 주시고 앞으로도 많은 애정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.
감사합니다 .
2020 년 10 월 14 일
불교미술가 유한울 배상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관음보살도 45-45cm 2015 년 한국불교미술협회 협회전 전시작
불사작업을 하면서 법륜스님의 [ 즉문 즉설 ] 을 듣던 중 법륜스님께서 관음보살에
대해서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.
“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의 무릎위로 올라가도 관음보살께서는 그저 이뻐해 주시지
않을까 ?“
그러한 생각을 시작으로 완성한 그림으로써 밝고 따스한 느낌을 통하여 관음보살님의
대자대비한 마음을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.
Copyright ⓒ 2015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관음 ,
관음 탱화 ,
관음보살도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 탱화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관음보살도 40-40cm 2013 년 한국불교미술협회 협회전 전시작
2013 년 한국불교미술협회 협회전에 참여한 관음보살도입니다 .
가장 보편적이자 대중적인 모습의 관음보살도로써 아름답고 우아한 자태를
표현하고자 노력한 작품입니다 .
3 회이상 도채한 면바탕에 금니로 섬세하게 표현하였으며 담백하면서도 유려한
아름다움을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.
Copyright ⓒ 2015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관음 ,
관음보살 ,
관음보살도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 탱화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관음보살도 60-40cm 2014 년 한국불교미술협회 협회전 전시작
2014 년 한국불교미술협회 협회전에 참여한 관음보살도입니다 .
좌상의 관음보살도를 중심으로 하여 배경이 정갈하고 균형있게 묘사되었고
그위에 보리수잎의 형상으로 마무리하여 전체적으로 정돈되고 유려한 아름다움을
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.
3 회이상 도채한 면바탕에 금니로 묘사하여 차분함 속에서 은은히 빛나는 화려함을
드러내고 있습니다 .
Copyright ⓒ 2015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관음 ,
관음 보살 ,
관음보살도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 탱화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선 , 보살도 55-40cm 2010 년 선아트스페이스 기획전 [ 선 , 풍 , 기 ] 전시작
2010 년도에 열린 선아트스페이스의 두 번째 기획전 [ 선 , 풍 , 기 ] 에 참여한
선 , 보살도입니다 .
기획전 [ 선 , 풍 , 기 ] 의 주제는 부채를 불교미술에 결합해 표현하는 것이었습니다 .
아마도 한여름에 열린 전시라 불교미술을 통해 관객들에게 시원함과 청량감을 주고자 한 것이지요 .
선 , 보살도는 부채의 형상을 통하여 문수보살을 바라보는 모습으로 구성되었습니다 .
문수보살은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입니다 .
부채의 형상과 하늘색의 배경을 통하여 문수보살의 보살행과 지혜를 밝고 맑게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.
Copyright ⓒ 2015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문수 보살 ,
미륵하생경 변상도 ,
보살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선 아트 스페이스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 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지장도 4.2-6.3 尺 (128-190) 충청북도 제천시 고산사
충북 제천 고산사에 모셔진 지장탱화입니다 .
고산사 주지스님이신 장산스님께서는 고상한 느낌의 지장탱화를 원하셨습니다.
따라서 고려불화 속 두건형의 지장보살님을 주존으로 하여 여러 권속들을
배치하였고, 고색을 사용하여 차분하고 엄숙한 느낌을 살렸습니다.
또한 문양을 성실히 묘사하여 고상함 속의 화려함을 표현하였습니다 .
Copyright ⓒ 2014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고산사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사찰 장엄 ,
시왕 ,
유한울 ,
장산 스님 ,
지장 ,
지장 탱화 ,
지장도 ,
탱화 ,
탱화 불사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산신도 4.3-4.8 尺 (130-145) 충청북도 제천시 한산사
충북 제천 한산사에 모셔진 순금 산신탱화입니다 .
제가 지금까지 그려왔던 산신탱화는 조금은 현대적인 미감을 추구했으나,
한산사 주지스님이신 각우스님께서는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산신탱화를 원하셨기 때문에 초안 작업을 새롭게 해야 했습니다 .
고식의 산신탱화는 조금 민화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.
산신에 후광이 없으며 머리에는 두건을 쓰고 있습니다.
호랑이는 매우 익살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.
또한 배경에 있어서도 동양화적인 표현보다 민화적인 모습이 더욱 많이 보입니다.
Copyright ⓒ 2014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각우 스님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산신 ,
산신 탱화 ,
산신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한산사 ,
후불 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칠성도 4.6-10.2 尺 (140-310) 충청북도 제천시 한산사
충북 제천 한산사에 모셔진 순금 칠성탱화입니다 .
신중탱화와 같은 크기로 모셔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칠성탱화보다 상당히
큰 작품었습니다 .
따라서 일반적인 칠성탱화의 구성을 기본으로 28 수를 추가하여 규모에
맞게 배치하였으며,
구성적 산만함을 피하기 위해 세 개의 원을 주제로 등장인물들을 정리하여
화려하면서도 정돈된 모 습으로 표현하였습니다 .
Copyright ⓒ 2014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각우 스님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,
칠성 탱화 ,
칠성도 ,
탱화 ,
탱화 불사 ,
한산사 ,
후불 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신중도 4.6-10.2 尺 (140-310) 충청북도 제천시 한산사
충북 제천 한산사에 모셔진 순금 신중탱화입니다 .
법당이 약간 어두운 편이어서 조금 더 화려하고 밝은 표현을 주기위해 홍바탕을 3 회 이상 도채하였고 금늬와 금박을 아끼지 않고 사용하였습니다 .
또한 불벽이 약간 낮은 점을 감안하여 2 단의 구성안에서 안정적이면서도 집중적일 수 있도록 묘사하였습니다 .
Copyright ⓒ 2014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각우스님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,
신중 탱화 ,
신중도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불사 ,
한산사 ,
후불 ,
후불 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열반 도 8-10 尺 (245-305)경기 도 평택 시 만기 사
경기도 평택시 만기사에 모셔진 열반도입니다.
부처님의 열반의 모습과 그 과정을 묘사하였으며 상단의 과거칠불의 모습은만기사 원경스님의 생각을 반영하였습니다 .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어두운 톤을 유지하여 부처님 열반 당시의 슬픔과 엄숙함을 표현하려 하였습니다 .
만기사는 매우아름다운 사찰로써 보물 제 567 호 철조여래좌상이 모셔진 사찰입니다 .
그 외에도 많은 유물과 기이함이 가득한 사찰이었습니다 .
Copyright ⓒ 2013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만기사 ,
미륵하생경변상도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미술과 ,
불교미술작품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탱화 ,
열반 ,
열반도 ,
원경스님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팔상도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경기도 안성시 대중사에 모셔진 석가모니 후불도입니다 .
대중사 대웅전은 규모는 작지만 우리의 건축양식이 총망라된 보기 드문 고주 ( 高柱 ) 법당이었습니다 . 따라서 조성된 불화의 높이가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띄고 있어 구성이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. 고심 끝에 해인사의 후불도에서 착안하여 구성을 마무리하였고 색상은 온화하게, 문양은 화려하게 표현하였습니다 .
대중사는 매우 큰 사찰은 아니나 사찰의 구성과 건축등에서 매우 뛰어난 정취를 자랑하는 곳입니다 . 다시 한 번 주지스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.
Copyright ⓒ 2013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괘불 탱화 ,
대중사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교미술대전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탱화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 ,
후불도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제가 가장 아름답다고 느낀 괘불도인 의겸스님의 운흥사괘불도를 모사한 작품입니다 .
원작의 이미지를 최대한 유지하였으며 단지 신체를 약간 길게 묘사하여 실내에서 보기 좋게 표현하였습니다 . 2011 년에 불교미술대전에서 입상을 수상하기도 한 작품으로 현재는 저희 화실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.
Copyright ⓒ 2013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괘불 ,
괘불도 ,
괘불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미술 ,
불교미술과 ,
불교미술대전 ,
불교미술작품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장엄 ,
사철장엄 ,
석가모니탱화 ,
신중탱화 ,
운흥사 ,
유한울 ,
의겸 ,
지장탱화 ,
칠성탱화 ,
탱화 ,
탱화불사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경기도 평택시 만기사에 모셔진 불법계승도입니다.
주지스님이신 원경스님께서 북한 개성에서 입수하신 불법계승도를 그 대로 모사한 작품입니다 .
스님께서 원본 그대로의 모사만을 원하셨기에 채색과정을 제외하고는
주관적 관점 없이 최대한 원본에 가깝게 모사한 작품입니다 .
Copyright ⓒ 2013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괘불 탱화 ,
나한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만기사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법계승도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 탱화 ,
원경 ,
원경스님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전북 고창군 미륵사에 모셔진 감로도입니다.
감로도는 무주혼 ( 無主魂 ) 을 영가천도 시킬 때 필요한 영가천도용 불화로써 총 3 단의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.
맨 하단은 삼라만상의 모습으로써 우리의 일상과 죄업을 짓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고 중단은 제사상과 아귀 또 승가의 제례를 표현하여 이러한 우매한 대중들의 구원을 청하는 모습이 표현되고
마지막으로 상단은 천상의세계를 묘사하여 과거칠불과 지장보살 , 관음보살 , 인로왕보살 등이 이들을 구원한다는 희망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.
Copyright ⓒ 2013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감로 ,
감로 탱화 ,
감로도 ,
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미륵사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신중탱화 ,
영가천도 ,
유한울 ,
지장 탱화 ,
천도재 ,
천도제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
전남 광양시 성불사에 모셔진 이 지장시왕도는 기존의 지장시왕도에 지옥도의 모습을 결합하여 죽음이후의 10 대 지옥의 형벌과 지장보살의 구원을 같이 묘사한 작품입니다 .
Copyright ⓒ 2013 YOU HAN WOOL All right reserved
불암미술사 02_936_8774 / 010_5480_3413
TAG 괘불 탱화 ,
동국대학교 불교미술과 ,
불교 ,
불교 미술 ,
불교 미술 대전 ,
불교 미술 작품 ,
불교미술과 ,
불사 ,
불암미술사 ,
불화 ,
사찰 장엄 ,
석가모니 탱화 ,
성불사 ,
시왕 ,
신중 ,
신중 탱화 ,
유한울 ,
지옥도 ,
지장 탱화 ,
지장시왕도 ,
칠성 탱화 ,
탱화 ,
탱화 불사 ,
후불탱화
이 글의 관련글(트랙백) 주소 ::